분류 전체보기 47

[WEEK05] 탐험준비 - Malloc Lab

정신 없는 5주차가 지나갔다. malloc lab은 OS에서 malloc이 작동하는 방식을 학습하기 위해 모형을 만들어보고 이해하는 과정이었다. 중간에 EC2가 터지는 불상사가 일어났다. 그래서 Docker로 Ubuntu 환경을 만드는 것에도 도전해봤다. 처음에는 진짜 뭐가 뭔지 Docker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도 몰라서 오랜 시간동안 버벅였다. 그러다 Container를 내가 직접 Docker에서 만드는 것이 아닌VS Code에 내장되어 있는 기능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만들고 devcontainer를 구성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편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 심지어 devcontainer를 폴더 안에 넣어놓고 VS Code로 실행하기만 해도 알아서 드라이브와 bind 해줄 뿐만 아니라 폴더 내의 환경 변..

[WEEK04] 탐험준비 - Red-Black Tree

4주차가 지나가면서 동기들의 개발일지를 봤는 데 자신이 새로 알게 된 알고리즘이라던가 코드같은 것들을 설명하고 정리하면서 깔끔하게 정리해놨는데, 내 개발일지는 너무 일기장처럼 그냥 느낀 점만 주저리주저리 써놓은 것같아서 조금 부끄러워졌다. 그래서 대신에 백준 알고리즘 리포지토리 외에 정글에 코드 아카이브를 따로 만들어서 새로 짜본 코드라던가 그런 것들을 저장해 놓기로했다. 이번 주에 깃허브의 아카이브에 내가 만든 모든 프로젝트를 삽입하고 싶어서 관련된 기능을 찾아보게 되었는데 깃허브에 subtree와 submodule이라는 기능이 있는 것으 알게 되었다. 이를 사용해 보려고 시도하다가 2시간 정도를 태워 먹었는데, IDE에서 지원해주는 깃허브 관련 기능이 생각보다 많이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됐고, 어지간한..

[WEEK03]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

정글의 마지막 알고리즘 주간인 3주차가 지나갔다. 걱정한대로 DP는 정말 지옥이었다. 출제자가 만들어 놓은 점화식을 찾는 다는 것은 생각보다 더 어려운 일이었다. 체감상 그리디 골드3 문제보다 DP 실버5 문제가 더 어려운 느낌. 알고리즘 주간을 진행하며 머리가 가장 아픈 주간이었다. 오죽하면 두통약까지 찾아 먹었다. 문제를 푸는 데도 오래걸려서 모든 주간을 합쳐서 문제의 갯수는 가장 적은데도 불구하고 결국 마지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1주가 지나게 됐다.   알고리즘 주간 통틀어서 시험문제에 대해서도 가장 걱정이 많았다. 아무래도 연습문제도 다 풀지 못했기 때문에 도대체 시험 문제에서는 어떤 문제가 나올까라는 생각을 했다. 시험이 시작됐고 구현 1문제, DP 2문제, 그리디 1문제가 나왔다. 구현 ..

[WEEK02]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

정글에 입소한지 2주차가 됐다. 여전히 알고리즘 주간이기 때문에 알고리즘을 푸는 데 온 힘을 쏟고 있다. 이번주는 Queue, Stack, DFS, BFS, 위상정렬을 학습하는 주인데, 큐와 스택의 경우에 개념 자체는 쉬워서 그런가 문제가 까다로웠고 문제를 푸는 시점 자체를 좀 바꿔서 본다던가 어떠한 형태의 배열을 스택처럼 바꿔서 본다던가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프 탐색 문제는 개념 자체가 어려워서 그런지 문제는 오히려 좀 쉽게 풀었다. 문제를 풀던 중 막히는 문제가 있어 다른 분의 코드를 보면서 공부를 하는 데 정글을 수료하신 분 중 에 블로그에 자신의 코드를 공유하신 분이 있었다. 그 분의 코드는 내가 푸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여 내 코드에 추가하거나 변경하기 좋았고, 그 분의 코드를 보면서 좀 ..

[WEEK01]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

사관학교 정글에서의 1주차부터 3주차는 알고리즘 학습 구간이다. 나는 비전공자이긴 하지만 중학생때 형을 따라 다니던 컴퓨터학원에서 알고리즘을 배웠었다. 그 때 당시에 재밌게 했었던 기억이 난다. 너무 오래돼서 다 까먹었을 줄 알았는 데 그래도 가물가물하게 하노이탑 정도는 기억이 났다. 거의 보자마자 머릿속 어디가에 있던 기억이 스물스물 올라와서 재귀함수를 만들어 줬다. 이번주에 알고리즘 공부를 하면서 느낀건 내가 남들보다 알고리즘을 잘하지는 못하지만 풀이방법에 대한 접근 자체는 그래도 어느정도 짬바가 나온다 싶었다.   입소 전에 전공자나 현직자랑 같이 면접을 봤었어서 나빼고 다 잘할 것 같다는 부담감이 엄청 컸었다. 그러나 입소 후에 이야기를 나눠본다던가 알고리즘에 대한 접근 방법 같은 이야기를 나눠보..

[WEEK00] 정글 입성

사관학교 입소와 동시에 0주차에 미니 프로젝트로 설계 및 제작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나는 6조 였는데, 조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정글의 스케쥴을 담은 달력을 만들자는 것과 정글러들의 소재를 기록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자는 것이었다. 조원들과 상의한 결과 달력은 너무 흔한 것 같고 정글러들의 소재를 기록하는 홈페이지를 만들기로 하였다. 우리에게 주어진 목표에는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고 jinja2를 사용하여 서버렌더링을 하는 것이었고, CSS를 Bootstrap외에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과 JWT를 사용하여 홈페이지를 암호화는 것이 부가적인 목표였다. 거기에 추가적으로 대표님이 부하테스트를 해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하셔서 이것까지 완료 목표로 삼았다. 나는 프로젝트에서 로그인과 회원가입 페이지의 프론트와 백..

블로그를 시작하며

SW사관학교 정글에 입소했을 때 적기 시작한 일지나 공부한 내용을 복원하고, 앞으로 공부할 내용을 적기 위한 블로그를 시작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정글에 입소한 지 1주일정도가 흘렀다. 1주일이 정말 빠르게 흘러갔다. 몰입하기 좋은 환경을 갖춰주니 다같이 몰입하여 프로그램을 이수했다. 왜 사람들이 좋은 환경으로 이사하는지 절실하게 몸으로 느꼈다. 다같이 몰입하여 코딩하고 있으니 쉬고 싶다는 생각도 들지 않았다. 그냥 코딩하고 매달리고 있는게 재밌었다.지나온 과거에 대한 성찰30년 동안 방황의 시간들을 보냈던 것 같다. 전공은 기계과를 선택했지만 기계가 적성에 맞지 않아 방황했다. 휴학하고 프로게이머도 해보고 알바도 안해본게 없다. 피씨방, 편의점, 식당부터 공사장 막노동, 생산직, 택배 상하차 등 해보면서..